뿔테안경은 피팅이 어렵습니다.
피팅이 어렵다는 말은 구입 시 주의할 점이 매우 많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
그중 하나를 뽑으라고 하면 저는 주저 없이 이것을 선택하겠습니다.
이것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뿔테안경 구입했다간 쓰는 내내 고생합니다.
뿔테안경을 편하게 쓸 수 있는 얼굴
뿔테안경이 불편해도 어느 정도 적응을 하는 게 사람이지만
적응할 필요 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얼굴이 따로 있습니다.
1. 코가 적당히 높을 것.
2. 코가 높으면서 콧등도 적당히 두툼할 것.
3. 광대뼈가 높지 않을 것
4. 속눈썹이 길지 않을 것
5. 두상이 얄팍할 것 (장두형)
이 정도만 보유하고 있어도 대부분 뿔테안경을 편하게 쓸 확률은 높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쌈 싸 먹는 더더 더욱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이것이 문제일 경우 해결할 방법이 거의 없습니다.
거의 없다는 것은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있긴 있다는 얘기지만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 합니다.
처음부터 이것에 대해 제대로 알고 접근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지만
스스로 판단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전문 안경사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본론으로 바로 들어가겠습니다.
그것은 바로 "높은 귀"입니다.
뿔테안경과 최악의 궁합 높은 귀
앞서 모든 조건을 다 갖고 있다고 해도 귀가 높다면 그것도 매우 높다면
뿔테안경은 포기하세요.
세상에 안경은 많고 많습니다.
괜한 고생 사서 하지 마시고 깔끔하게 포기하세요.
억지로 구매하시면 본인도 힘들고 안경사도 힘들어집니다.
높은 귀는 대체 무엇을 말하는 걸까?
기준은 정하기 나름이지만 안경 착용자에게 귀 높이의 기준선은 "눈꼬리"입니다.
눈꼬리와 귓바퀴가 시작되는 지점이 평행할 경우 정상 높이라고 할 수 있고
그보다 낮으면 낮은 귀 높으면 당연히 높은 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생 안경 착용자의 귀를 관찰한 결과
나이가 많고 남성성이 강한 분들이 높은 귀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가 높은 분들 중 많은 분들이 골격도 강하고 얼굴이 큰 경우도 많더군요.
(개인적인 의견이고 근거는 빈약합니다. ㅠㅠ)
무게는 크기에 비례하므로 얼굴이 커도 뿔테안경은 불편합니다.
귀가 높으면 뿔테안경이 불편한 이유
뿔테안경은 코받침이 일체형이라 일반 안경에 비해 얼굴에 밀착됩니다.
프레임도 두꺼워 얇은 금속 안경보다 얼굴에 닿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귀가 높으면 자연스럽게 안경 경사각이 증가해 아래쪽이 얼굴에 닿게 됩니다.
말 그대로 코가 아니라 볼 위에 안경을 걸치게 됩니다.
피부에는 전문용어로 "개기름"이라고 하는 지방성 분비물이 끊임없이 생성되어
안경에 그대로 전달됩니다.
이 기름진 이물질들은 쉽게 닦이지 않아 본인에게는 시야의 방해를
타인에게 갑갑함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피팅으로 해결할 수 없을까?
"안경은 어느 정도 불편함이 있고 안경사의 피팅으로 해결하는 것이
안경사의 업무 아닌가요?
그 정도는 해결해야 대한민국 안경사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닙니까?
너무 노력하지 않는 것 아닌가요??"라고 고객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포스팅 처음 문장을 다시 한번 읽어 보세요.
"뿔테안경은 피팅이 어렵습니다."라고 적어놨습니다.
음... 일말의 기대를 하실 수 있을 것 같아 확실히 못을 박도록 하겠습니다.
피팅으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높은 귀에 맞게 피팅이 안 되는 이유
높은 귀를 가진 사람이 안경을 편하게 쓰려면 경사각이 적어야 합니다.
참고로 안경다리와 전면부의 각도 차이를 "경사각"이라고 합니다.
위와 같은 안경을 귀가 높은 사람에게 피팅하는 것은 매우 간단합니다.
안경다리를 위로 올리기만 하면 됩니다.
엄청 간단하죠.
라고 말하고 싶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합니다.
이 글을 쓴 이유이기도 하죠.
경사각은 앤드피스에 힘을 가해 조정합니다.
앤드피스가 뭔지 궁금하신가요?
이왕 이렇게 된 것 나머지 명칭들도 잠시 확인해 보고 갑시다.
하지만 뿔테안경은 앤드피스가 없습니다.
림(전면부)에서 바로 템플(안경다리)로 이어집니다.
경사각을 주고 싶어도 줄 수 있는 영역 자체가 없습니다.
그래도 반드시 경사각을 주고 싶다면 경첩에 변형을 가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뿔테안경은 5중 경첩 혹은 7중 경첩을 사용합니다.
다중 경첩은 변형을 가하기도 어렵고 변형시킬 경우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안경의 내구성이 확 떨어지게 됩니다.
다시 결론으로 돌아갑니다.
경사각을 조정할 수 없어 높은 귀를 갖고 있는 분들은 뿔테안경을 포기해야 합니다.
요즘 두꺼운 뿔테안경이 유행하는 것 같네.
나도 뿔테안경 한번 써 봐야지.
온라인에서 싸게 파네.
앗싸 도착. 한번 써봐야지.
음, 조금 불편하네.
안경렌즈 넣으면서 안경원에 피팅 부탁해야지.
안경사가 해결해 줄 거야.
뭐야? 피팅 안된다고? 그냥 이대로 써야 된다고?
자기네 안경원에서 사지 않았다고 피팅 거부하는 건가?
라고 생각하지 않길 바라며 이 글을 마칩니다.
'안경! 안경원 탐구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안과의사가 알려주는 시력을 망치는 행동 TOP3 는? (0) | 2021.10.08 |
---|---|
일본 잡지에 연재 중인 "남자를 시작하는 안경 이야기" (0) | 2021.10.07 |
라운즈와 브리즘은 과연 혁신을 하고 있을까? (0) | 2021.09.16 |
새로 입고된 아이반7285 안경테를 소개합니다. (0) | 2021.09.05 |
안경원 검안장비 어디까지 왔을까? (0) | 2021.08.28 |
안경렌즈 제거 함부로 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1.07.13 |
오큘러스 퀘스트2 렌즈 가이드 도수 작업 시 유의사항 (2) | 2021.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