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오비노 안경을 많이 판매하기는 하지만 그 외에도 모노디자인이나 RIC 안경등 다양한 제품도 취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RIC 뿔테안경이 디자인과 품질이 뛰어나게 나와 피오비노 대체 상품으로 활약중입니다. 관련글 : 피오비노에 버금가는 뿔테안경 RIC 특히 RIC 제품은 고도수에 특화 된 모델이 몇가지가 있어 도수가 높은 분들이 왔을 때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9.00디옵터의 고도근시 손님에게 추천한 RIC 원형 뿔테안경 작업후기를 남겨 보도록 하겠습니다. |
케미 1.74 초고굴절 안경렌즈
흔히 말하는 세번 압축한 렌즈는 굴절률이 1.67입니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고도근시 손님에게 권해 주던 제품입니다.
굴절률 1.67이상 되는 제품들은 세이코나 니콘 같은 수입 브랜드에서만 나오던 시절이었지요.
하지만 최근에는 국내 대부분의 업체들이 1.74까지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비교적 양호한 렌즈가격으로 가장 얇은 두께의 제품을 추천 할 수가 있습니다.
대신 굴절률이 높아질 수록 광학적 기능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어서 무조건 얇다고 해서 권하지는 않습니다.
여러가지 사정을 고려해서 추천을 하게 되지요.
왜 도수가 높은 경우 원형안경이 좋은가??
잠깐 질문하나 할까요?? 안경렌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정답은 안경테의 중심축과 눈동자의 위치가 일치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1번처럼 눈동자가 중심에 위치할 경우 같은 종류,같은 도수의 안경렌즈라고 하더라도 두께가 더 얇아집니다.
하지만 문제는 일반 사각 안경테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안경테를 선택 시 얼굴에 비해 사이즈가 작다는 느낌을 줍니다.
결국 얼굴 크기에도 맞고 렌즈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들기 위해서는 원형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 너비(폭)가 같은 경우 원형과 사각의 크기차이
남자가 잘 생겨서 그런가 둘다 괜찮아 보이는군요..^^;; 그럼 이 상태에서 똑같이 안경사이즈를 90%로 줄여보도록 하겠습니다.
확실히 원형 안경이 더 여유가 있어 보이죠? 이런 이유로 도수가 높은 경우 원형스타일이 좀 더 결과가 좋게 나옵니다.
RIC 원형 뿔테안경
위와 같은 이유로 -9.00디옵터의 고도근시 손님에게 추천한 안경은 RIC 뿔테안경입니다.
케미글라스의 1.74렌즈와 원형 뿔테안경이 만나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한번 볼까요??
안경렌즈를 통해 보이는 축소된 배경이 -9 디옵터의 위력을 느끼게 해 줍니다.
아무리 가공기술이 좋고 렌즈가 좋더라도 옆에서 본 모습은 어쩔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사이즈가 작은 덕분에 일상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 부위입니다.
뒷배경을 어둡게 하고 찍었어야 하는데^^; 두께 보이시나요?? 상당히 얇게 나와주었네요..
초점을 어디에 맞춘 걸까요?? 사진을 다시찍고 싶지만 이미 안경은 손님 손으로 떠난지 오래...ㅠㅠ
크리스탈가공 (광택작업)으로 외부에서는 두께감이 별로 보이지 않습니다.
도수가 높은 경우 본인이 직접 안경테를 선택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간혹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거나 렌즈를 끼 상태로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기도 하지만
문제는 안경렌즈가 들어가게 되면 그런 이미지는 전혀 무용지물이 됩니다.
그런 이유로 안경사가 있는것 아니겠습니까? ^^
안경사분들도 도수가 높은 손님이 올 경우 소비자에게 안경선택을 맡겨두지마시고
좀더 전문가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안경을 추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마 소비자 분들도 좋아할 꺼예요..♡
'가우디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순간의 실수로 뒤 바뀐 손님의 안경 (0) | 2012.02.15 |
---|---|
"모노디자인 안경" 고도근시 혹은 얼굴이 작은 분들에게 추천 뿔테안경 (0) | 2012.02.07 |
연예인 안경 플라스타 안경 P4 작업 후기 (2) | 2012.02.06 |
[연예인 안경] 브레인의 "신하균 빨"을 받은 신하균 안경 (0) | 2012.01.19 |
눈이 나빠 보이지 않는 고도수 안경 "RIC 뿔테안경" 작업후기 (2) | 2012.01.19 |
한국에서 호주로 안경 보내기 어렵지 않아요.(안경 해외 배송 후기) (1) | 2011.12.27 |
피오비노 안경을 비롯한 추천 안경 온라인으로 구입 방법 (0) | 2011.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