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복한안경사의 창작공방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행복한안경사 2018. 10. 13.

    예약 후 방문해 주세요!!

    예약 블로그를 운영하는 행복한 안경사가 직접 상담해 드립니다. 예약방문객에게는 다양한 혜택을 드립니다. 예약하기

    행복한안경사
    1996년 안경사 면허 취득후 오늘까지 10630 일 동안 꾸준히 안경사로 살아오고 있습니다.
    12,000일 채우고 은퇴할 생각이니 그날까지 안경원에서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상담하기
    가우디 안경원
    2013년 2월부터 마포구 대흥동에 오픈 후 4421 일 째 조금씩 성장중인 안경원입니다. 계속 성장하는 안경원이 될게요.
    가우디 안경원은 과연 어떤 곳일까요?
    궁금하신가요? 제대로 알아봅시다.
    자세히 보기
    예약 후 방문해 주세요.
    블로그를 운영하는 행복한 안경사가 직접 상담해 드립니다.
    예약 후 방문하시는 분들을 위해 기능성렌즈 전품목 30% 할인해 드립니다.
    (누진다초점렌즈, 오피스렌즈 등 )
    예약하기


    목차

      글씨를 못쓰지는 않았지만 글씨를 잘 쓰는 친구들이 너무 부러웠습니다.

      특히 교실 칠판에 프린터로 뽑아내듯 정자체로 또박또박 쓰는 담임선생님 글씨가

      너무 탐이 났습니다.


      하지만 재능이 없더군요.

      그냥 저냥 흉내만 낼 뿐이지 오랜 내공이 쌓인 글씨에 비하면 너무 초라했습니다.


      다행히 남자들만 득실대는 남고에서는 그나마 잘 쓰는 편에 속했고

      대학에서도 그럭저럭 쓰는 편에 속했습니다.

      그리고 군대를 갔습니다.


      13공수 특전여단으로 자대 배치를 받고 동기들과 함께 모여 식사를 하던 중

      우연히 다른 자리 얘기를 엿 듣게 됩니다.

      그리고 여단 본부 작전처 소속 교육병이 됩니다.

      하는 일은 하루가 시작 되기 전 상황실 상황판을 작성하고.

      가끔 중대 별 평가 있을 때 교육장교와 함께 평점 매기는 일을 합니다.


      어떻게 작전처에 들어가게 됐는지 궁금한 분들은 더보기를 눌러주세요. 



      상황판 작성하는 일이 있다보니 글씨를 잘 써야 합니다.

      군대는 글씨 쓰는 법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없습니다.

      오로지 사수를 통해 전수를 받아 이어가야 합니다.

      사수는 제대를 얼마 남지 않은 상태라 저를 거칠게 다루기 시작합니다. ㅠㅠ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군대에서 글씨쓰는 법을 배우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세로 획 긋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군대 글씨에서 가장 핵심은 세로 획인 "ㅣ" 입니다.

      시간 날 때마다 모나미 보드마카와 국방일보를  갖고 세로 획을 긋습니다.

      며칠 동안 획만 긋는 것이 따분해 자음을 몇 개 붙였다고 엄청 깨졌던 기억이 나네요. ㅠㅠ

      하지만 왜 그렇게 세로 획을 강조했는지 시간이 지나면 알게 됩니다.



       

      2. 가로 획 긋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가로 획은 단순하지만 어렵습니다. 

      경사를 살짝 올리며 가다가 어느 순간 아래로 흘러 내려야 합니다.

      너무 가서도 안되고 너무 올려도 안되고 제약이 많은 획입니다.

        "ㅗ" 를 쓰느냐 'ㅜ'를 쓰느냐에 따라서도 모양이 달라집니다.



      3. 자음 쓰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지루한 세로 가로 획이 끝나면 비로소 자음을 쓸 수 있습니다.

      일반 붓글씨와 달리 각이 변하는 곳에 힘이 들어가는 것이 군대 글씨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자음 보다 특히 "ㅇ" 자의 모양이 독특합니다.


       

      4. 글자쓰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손 글씨 교본과 군대 글씨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장평 ( 한 글자의 너비) 입니다.

      일반적인 글씨는 가로 보다 세로가 더 긴 비율을 보이는 반면 군대 글씨는 정사각형을 기본으로 글씨를 만듭니다.

      이게 군대 전체에서 통용되는 것인지 모르지만 사수는 이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더군요.


      이 외에도 다양한 내용을 전수 받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지나 기억이 나질 않네요. 

      그래도 이 정도라도 기억해 낸 게 어딥니까? ㅎㅎ


      군대가 없어지기 전에 글 쓰는 보직은 사라지지 않을 테니 조금이라도 군 생활 편하게 하고 싶으면

      글 쓰는 연습을 해보는 것은 어떤가요?


      이왕 이렇게 된 것 글씨 못쓰는 사람들을 위해 몇 가지 꿀팁을 나눠 볼까요?


      글씨를 잘 쓰기 위해 (잘 쓰는 것처럼 보이기 위해) 5가지 정도가 필요합니다.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1. 리듬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못생긴 글씨의 특징 중 하나가 일정한 패턴이 없다는 것입니다.

      성격이 급하고 호흡이 거친 사람들의 글씨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마음을 차분히 하고 가벼운 터치로 글씨를 적어 봅니다.

      스마트폰 스크롤 할 때 위로 올려치는 것처럼 자음 하나 모음 하나 가볍게 쓰면서

      일정한 패턴을 만드는 연습을 해 봅시다.





      2. 간격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앞 서 말한 것처럼 패턴이 없는 또 다른 이유가 간격이 들쭉날쭉 하기 때문입니다.

      적당한 간격이 감이 안 온다면 음절은 좀 더 붙이고 띄어 써야 하는 곳은 확실히 띄어주면 

      전체 글씨가 조금은 그럴싸해 보입니다.


       


      3. 크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요령이 생기면 적당한 크기 변화로 생동감 넘치는 글씨를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나중 일이고 우선 당장 글씨를 잘 쓰고 싶다면  일정한 크기로 글씨를

      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칸이 있는 노트를 이용해 연습하는 것이 좋지만 위아래 가득 채워 쓰는 것보다 

      적당한 공간을 띄우고 일정하게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좀 더 효과가 좋습니다.

      칸이 없는 공간에 글을 쓰는 일이 더 자주 있기 때문이죠. 



      4. 기울기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패턴을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가 세로 획을 일정하게 기울여 주는 것입니다.

      리듬감을 유지하면서 기울기를 일정하게 맞춰 글씨를 적으면 힘이 있으면서

      깔끔한 필체를 어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글씨 크기까지 일정하다면 어디 가서 글씨 못쓴다는 얘기는 듣지 않을 겁니다.



      5. 펜과 종이


      글씨를 못쓰는 사람들은 경험할 수 없지만..^^;

      글씨를 잘 쓰는 사람들도 가끔 글씨가 개판인 경우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글씨를 거의 그리기 때문에 쓰는 속도가 매우 느린 편입니다.

      그렇다 보니 만년필처럼 잉크가 흘러나오는 펜으로 글씨를 쓸 경우 속도를 감당하지 못해

      원하는 글씨가 나오지 않습니다. 

      빅 볼펜이나 모나미 기본 볼펜처럼 볼이 굴러가면서 잉크가 나오는 펜을 써야 안정감 있게 글씨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리 판 위에 놓인 A4 용지처럼 딱딱하고 매끄러운 표면에 쓰는 것보다.

      신문지나 명함 종이처럼 파고드는 용지에 글을 써야 좀 더 잘 써집니다.

      본인의 성격, 손놀림 등을 고려해 볼펜이나 용지를 선택하면 확실히 더 잘 쓸 수 있습니다.



      뜬금없이 글씨 강좌를 하게 되었네요. ㅎㅎ


      [이색 강좌 ] 군대에서 배운 글씨 쓰는 법


       



      댓글